게시판검색
3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멘토링 지도 경험
Mentoring Guidance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3rd year Nursing Students
강현임, 이영란 원문저장

한국어 초록

목적: 3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멘토링 지도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질적연구방법인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3학년 선배 멘토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멘토링 지도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한다. 결과: 3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멘토링 지도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중심현상은‘힘이 되고 싶음’으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도록 이끄는 인과적 조건은‘지원함’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과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자신감을 북돋음’,‘든든한 울타리’로 이를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과정은‘내 몫을 해냄’,‘관계 맺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심적 부담’,‘걱정거리’이었으며, 참여자들의 이러한 맥락적 조건은 후배들과 교수님들에게 ‘힘이 되고 싶음’이라는 중심현상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남아있는 아쉬움’, ‘스스로 성장함’, ‘실질적인 멘토링’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3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멘토링 지도 경험과정의 의미체계와 실체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과 핵심기본간호술기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영어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mentoring guidance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3rd year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explores the essence of mentoring guidance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upperclassmen mentors in their 3rd year through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mentoring guidance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3rd year nursing students revealed that the major phenomenon was “wanting to be helpful,” and that the causal condition for this phenomenon to occur was “support.” It was also revealed that “boosting confidence” and “a reliable fence” were the contextual condition and the mediating condition that influenced working/interactive strategies, and that “doing one’s part” and “forming relationships” were the process of working/interactive strategies. Further, “psychological burden” wa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influenced the major phenomenon, and “wanting to be helpful” towards junior students and professors was the major phenomenon i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were revealed to be “lingering regret,” “self-development,” and “practical mentoring.”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s a substantial theory by describing the process of mentoring guidance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3rd year nursing students. Also, based on this,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management of effective mentoring programs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instruct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상세서지



참고문헌

● 단행본
- Zachary, L. J.『, 멘토와 멘티』, 스마트비즈니스, 2009.
● 논문류
- 강연지,『 선·후배간 멘토링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대석사논문, 2007.
- 김기영,「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멘토의‘ 동반성장’ 사례연구」,『 다문화교육연구지』 7(1), 다문화교육연구회,
2014.
- 김민정,『 프리셉터간호사와 신규간호사의 역할수행도』, 경북대 석사논문, 2007.
- 김세연,『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에 의한 프리셉터 업무수행평가』, 카톨릭대 석사논문, 2005.
- 김지응,「 대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활적응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식전공 학생들의 Mentor에 대한 신뢰에 따른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외식경영학회지』11(2), 외식경영학회, 2008.
- 김정선·선정주·김현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체험」,『 질적연구』10(1), 질적연구학회, 2009.
- 박세미,『 대학생들의 무용 멘토링이 무용열정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중앙대 석사논문, 2011.
- 박정원·하나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정신간호학회지』12(1), 정신간호학회, 2003.
- 윤대관,『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의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명지대 석사논문, 2012.
- 조미영,「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
회 기본간호학회지』21(3), 한국간호과학회 기본간호학회, 2014.
- 전미진,『 학교부적응 학생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2002.
- 최동원,「 임상실습 중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정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20(2), 한국간호
교육학회, 2014.
- 한애경·조동숙·원종순,「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 수행 자신감 조사연구」,『 한국간호과학회 기
- 본간호학회지』21(2), 한국간호과학회 기본간호학회, 2014.
- 황은정·이명근·서순식·오상청,「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토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기업교육연구학회지』
10(2), 기업교육연구, 2008.
● 기타자료
- 김아린,「 일 대학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 실습 후 핵심기본간호 실습 만족도, 수행 자신감 및 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
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012(10).
- 김지연·정소연,「 청소년 멘토링 활동 효과 측정」,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2010.
- 대한간호협회,「 교육기관현황」, http://www.koreanurse.or.kr:444/ resources/ nur_edu.php
- 소애영·서길희·심주은·김민관·박희주·안지호·오유정·김예진·전예빈, 「간호대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역
량 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 학술대회, 2015(5).
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http://kabone. or.kr/kabon03/index03_02.php.2012
● 외국문헌
- Herrera, C., Gale, L. Y., & Vang, Z.『, Group mentoring』, Private Ventures, 2002.
- Kiraz, E., & Yildirim, S.,「 Enthusiasm vs. experience in mentoring: A comparison of Turkish no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in fulfilling supervisory role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2), 2007.
- Kirk, J. J., & Olinger, J.「, From traditional to virtual mentoring」,『 ED』,2003.
- Klein, C. J., & Fowles, E. R.,「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e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5(2), 2009.
- Shawn, O., Alexis, H., & Otis, Williams, Ⅲ.,「 Therapeutic Group-Mentoring with African Male Adolescent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5(2), 2003.
- Shea, G. F.『 Mentoring How to develop successful mentor behavior』, Crisp Learning, 1995.
- Strauss, A., &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