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검색
고령화 시대의 노인교육 활성화
Senior Education Revitalization Plan of aging society
김석준 원문저장

한국어 초록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전 및 건강증진의 향상 등으로 평균수명의 연장, 또한 저출산 현상으로 인구 고령화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 진행 속도는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2018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빠른 고령화의 속도에 비해 노후준비는 현저히 떨어져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노인교육은 노인 스스로가 자신에게 적합한 역할을 찾아 수행하게 하고. 다양한 노인문제에 대하여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하는 능력을 키우게 한다. 또한 변동하는 사회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 사회에 동참하여 고립되지 아니하고 적응하고 자립해 나갈 수 있게 해 준다. 시대의 진전에 따라 노인교육의 필요성은 점차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경험과 기능,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여, 노인 교육을 활성화시고, 사회적 심리적으로 위축된 문제점 등을 미술교육으로 해소하고자한다.
노인미술교육은 주체적인 문화 의식을 가지고 사회와 소통하면서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며, 노인미술 활성화 방안은 이러한 목적의식에서 그 구체적 방법을 찾고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어 초록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health promotion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of medical technology, the aging population with low fertility phenomenon also has been proceeding rapidly. Especially as our country’s aging process speed is the world’s top level, in 2018, the elderly population in occupied ‘aging society’ for over 14%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26 are expected to be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beyond 20%, but the rapid aging aging preparation i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off rate.
As an alternative, the elderly are the elderly themselves and perform training yourself to find an appropriate role. Aged for various problems spontaneously and grown in the ability to actively respond. Also it makes it possible to adapt and continu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of independence and not isolated nor to participate in that society.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times gradually adding to its meaning. In this study, experience and capabilities of the elderly,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technology, it activates the elderly education, and to address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with a contraction in Art Education.
Senior art education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ubjective cultural and social consciousness, senior art Activation Plan seeks to leverage those looking specifically at how such a sense of purpos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상세서지



참고문헌

● 장래인구추계 결과(2006), 통계청
● 장래인구추계 결과(2006), 연수통계청
● 단행본
- Elliot W, Eisner, 강현석 외 역『, 예술교육론』, 아카데미프레스;서울, 2007.
- Elliot W, Eisner, 서울교대 미술교육연구회 역『,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도서출판 예경;서울, 1995.
- Mary Gordon, 문희경 역『, 공감의 뿌리』, ㈜한국커뮤니케이션; 서울, 2010.
- 기영화,『 노인교육의 실제』, 학지사;서울, 2007.
- 김태준, 홍경란, 김선자, 박응희, 정혜령, 한정란,『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노년교육 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서울, 2007.
- 김혜숙, 김성숙, 김정희, 김형숙, 안금희, 이성도, 이주연, 정여주, 황연주『,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서울, 2012.
- 다와라구니테르, 김지균외 공역『, 노인복지와 미술지도』, 홍익채;서울, 2003.
- 로웬필드, 서울교대 미술교육연구회 역『,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서울, 2008.
-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아트(sigongart);서울, 2003.
-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서울, 2008.
- 이병준,『 21세기 노령화사회를 대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서울, 1999.
- 한정란,『 노인 교육의 이해』, 학지사;서울, 2005.
● 논문류
- 김상태,『 노인 형태의 주거설계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98.
- 김유리,『 노인 복지 공간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실내 색채 계획』, 동덕여대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04.
- 임명선,『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노인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