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검색
도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제도화방안
Institutionalization and operating of an Apprenticeship education programe
이혜경 원문저장

한국어 초록

그동안 역대 정부마다 강조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구현되지 못한 스펙이나 학력이 아닌 ‘능력중심사회’구현을 위하여 현 정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구축과 활용, 실력중심의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정착, ‘직무능력평가제’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불황이 지속되고 청년 고용은 절벽에 직면해 있다.
교육에 의한 계층이동성이 매우 약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와 무관한 청년들의 스펙 쌓기는 대학교육과 직업현장의 미스매칭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제는 능력중심사회에 걸맞는 대학교육의 개혁이 필요하다. 스펙보다는 실력과 능력이 종중받는 사회를 구현해 나가야 한다. 직무능력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의 개혁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실현방안의 하나로 도제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업과 학교간의 ‘미스매칭’을 해소하고, 최근 우리 사회가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청년층의 낮은 고용율, 청년층의 고학력화, 노동시장 진입 연령 증가,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도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제도적 운영방안의 핵심은 우리사회의 고숙련 기술인을 활용한 ‘도제교수 양성 및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도제교수’는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교수법 및 교육학적 지식은 부족하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양성과정을 설계하여야 한다.
도제교육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유럽 주요국가의 경우 기업 자체적으로 교육비를 부담하고 있으나, 이는 오련 전통과 함께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고, 우리나라 여건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한국형 도제교육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양적지표에 중심을 둔 성과관리보다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에 중점을 두어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직업교육의 중심에 있는 전문대학에 ‘한국형 도제교육 프로그램’의 제도화 방안이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based on situated learning by looking at learning as the process of guided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and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in the field. The need for such a model is derived from our inability to height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ractical knowledge throughout our lives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the pluralistic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ince today’s education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with the main objective of acquiring knowledge and developing capabilities.
Despite the fact that I was stressing every successive governments have you been all my life, Who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nd education is not in order to shape ‘social center capabilities’ credits. The present Government is stat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eployment and use(NCS). Skills, pushing the introduction of a ‘Employe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doption system beyond the specifics’ settlement of a centre.
Befitting a community center now is the ability of college education reforms are needed. Receiving skills and ability rather than specifications are owned by a clan society should continue to implement.
‘apprenticeship education programs and Measures to’ where applicable, from junior college is also proposed. Should also expand the ‘Professor of apprenticeship training and support’ and out. In the centre of vocational training colleges in ‘The South Korean Navy apprenticeship education program’ Institutionalization of need.
Therefore, if we develop a verified integrated model in the future, then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nd a great deal of discussion about these attempts can be expected to create another argument to change field-orien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도제교육 관련 선행연구 고찰
Ⅲ.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Ⅳ. 도제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상세서지



참고문헌

● 단행본
- 김기홍, 조희경, 오병진.(2014).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안. 서울: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김홍순(2015.3.18 발행일자) 산학일체형 특성화고 도입 및 확대 추진. 교육정책 네트워크 정보센터
- 박지순, 김기선, 최수정.(201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 법제화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성, 이상돈, 김영생, 이수영, 류지영.(2011). 국가숙련전망조사(2011).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전승환, 정동열.(2014). 일학습병행제의 정착을 위한 해외 사례 고찰.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 정태화, 윤형한, 홍용기.(2015). 고등직업교육기관의 통합 방안: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정주연, 최희선.(2013). 도제훈련제도의 국가별 특성 및 한국직업훈련제도 개편에 대한 시사점. 서울: 산업연구원.
- 최수정.(2014). 일·학습병행제 해외 동향과 시사점. The HRD Review.
- 최수정, 강경종, 김종우, 이수경, 장명희, 허영준, 박지순, 장홍근, 정동열.(2013). 산업현장 일·학습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도제훈련: 청년 고용과 숙련 개발을 위한 혁신적 접근.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직
업능력개발원.
● 기타자료
- 고용노동부.(2012). 제 1차 숙련기술장려 기본계획(2012~2016년) 발표. 보도자료.
- 교육부.(2015).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설명자료. 보도자료.
교육부, 한국연구재단.(2015). 현장실습 운영지침(고시안) 공청회 자료집.
- IKEI(2012), Apprenticeship supply in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