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검색
유교·도교 음악에 대한 소고
View on Confucianism and Taoism music
김승원 원문저장

한국어 초록

종교음악은 종교의 전례를 위하여 만들어졌고, 종교음악은 예술적 차원을 넘어서서 인간 성품의 근원을 노래하고 우주 주연의 본래 면목을 노래한다. 그리하여 신과 진리를 포용하고 인간 모두를 안아 전 우주에 메아리치는 불멸의 화합의 상징이 되어왔다.
유교와 도교는 2500여 년간 동양 사상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그리고 오랜 세월동안 전통문화와 동화되는 과정을 거쳐 자신들의 음악문화를 형성해 왔다. 비록 근대에 들어 서양문명의 팽배로 인해 빛을 잃고 말았지만, 그 윤리 사상은 인류의 영원한 등불이 되고 유산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 음악은 오랫동안 민족음악적 형태에 머물고 있다.
여타 종교들의 음악은 대부분 세계 음악적 형태로 변모하거나 발생하여 현대 문명의 진행속도와 그 궤를 맞추고 있으나, 근대 이후 유교와 도교의 종교적 성격이 상당부분 와해되면서 그 음악 또한 개량 발전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특히 현대화 과정에서 이들은 비합리적인 것으로 전락되면서 차제에 이르러 구시대의 유물로 비쳐지고 문화유산의 형태로나 남게 되었지만 그 음악들이 갖고 있는 장대함과 유려함은 어느 음악도 따라갈 수 없는 지고의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점에서 이들 두 종교음악의 원류와 정서를 간략히 정리하고 인류의 소중한 문화적 가치를 조명하여, 이들 음악 안에 배어있는 역사와 문화가 인류의 영원한 유산으로 유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어 초록

Religious music was initially made for the divine services, and it sings about the origin of the human nature and about the true side of the universe. Therefore the music has been embracing God, the truth, and all humankind to become the immortal symbol of reconciliation.
Confucianism and Taoism have played key roles in Eastern philosophy for 2,500 years. And for a long time, they have assimi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formed their own musical culture. Due to the prevailing Western culture in recent days, while Confucianism and Taoism became pale into insignificance, their ideology on ethics will be the eternal light and the heritage for the humankind. However their music have stayed in ethnic musical form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usic of most other religions have deformed into or newly formed in global musical form, and a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f modern culture, while the Confucian and Taoist music seem to have lost many opportunities to be improved after their religious aspects were collapsed. Especially during the modernization, they were considered as irrationality, relics of past and cultural heritages. And yet the magnificence and elegance of their music can’t be denied to be the most supreme that no other music can imitate.
This study briefly summarizes the origin and sentiment of these two religious music, and illuminates the precious cultural value of humanity in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history and culture permeated in their music to be passed on as an eternal heritage of humanity.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유교 음악 소고
Ⅲ. 도교 음악 소고
Ⅳ. 맺는 말
참고문헌

상세서지



참고문헌

● 단행본
-「韓國音樂史」, 『( 韓國藝術史叢書』 Ⅲ, 大韓民國藝術院), 1985.
-『순자』,「 樂論」, 정장철 역해, 혜원출판사, 1994,
-『樂記(동양의 음악사상)』, 조남권·김종수 역, 민속원, 2001.
-『禮記』, 권오순 역해, 홍신문화사, 1993.
-『한국 종교의 의식과 예절』, 문화체육부 종무실, 1996.
- 그레이슨, 제임스 헌틀리, 강돈구 역『, 한국 종교사』, 민족사, 1995.
- 막스 베버, 이건용 역『, 음악사회학』, 민음사, 1993.
- 성백효,「 근사록집해」 1, 전통문화연구회, 2006.
- 원성희,『 성가문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 양해명,『 唐宋詞史』, 신아사, 1995.
-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 중앙대학교 출판국, 1976.
- 이장직,『 음악과 사회』, 청하, 1991.
- 임상후,『 종교 음악개론』, 한국학술정보(주), 2006.
- 한흥섭,『 중국 도가의 음악사상』, 서광사, 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음악』 1~26, 국립국악원, 은하출판사, 1991.
● 논문류
- 한연화,「 한국·중국 도교 음악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논문, 2007.
- 김철화,「 도교와 한국음악」『( 시민시대』통권 232호, 목요학술회), 2004.
● 기타 자료
-「한국음악학에 대한 연구 관점과 성과」, 권오성(權五聖) 인터뷰자료, 국립국악원, 2010.